넷플릭스 영화 이제 그만 끝낼까 해 리뷰(해석, 결말)

영화 존 말코비치 되기와 이터널 션샤인의 각본가 찰리 코프먼이 각색, 감독한 작품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결정론자의 연애 이야기

 

이 리뷰는 줄거리와 주요 스포일러, 결말이 다수 등장합니다.

넷플릭스에서 영화 이제 그만 끝낼까 해를 봤다. 스코틀랜드 작가 이언 리드의 2016년 발행된 동명의 심리 스릴러 소설 원작을 영화 존 말코비치 되기(1991)와 이터널 선샤인(2004)의 각본가 찰리 코프먼이 각색과 감독을 맡았다. 넷플릭스 이제 그만 끝낼까 해는 관객을 매우 혼란스러운 상황에 처하게 만들면서, 일반 대중들에게 철학과 현대 물리학의 흥미로운 문제들에 대한 화두를 던진다. 

 

넷플릭스 이제 그만 끝낼까 해 후기(줄거리, 결말) (c) NETFLIX
넷플릭스 이제 그만 끝낼까 해 후기(줄거리, 결말) (c) NETFLIX

 

주요 시놉시스(간략 줄거리)는  제이크의 여자친구가 남친 제이크의 부모님 집을 자동차로 함께 여행하면서 겪게 되는 일들을 다루고 있는 로드 무비이다. 

 

 

 

주요 캐스팅(배우)

제시 버클리

아일랜드의 가수 겸 배우인 제시 버클리가 제이크의 여자 친구 역을 맡았다. HBO 미드 체르노빌에서 류드밀라 이그나텐코 역으로 출연했다. 영화 주디(2019)에서 로잘린 와일더 역으로 출연했다.

제시 플레먼스

AMC 미드 브레이킹 배드에서 토드 앨퀴스트 역으로 출연한 제시 플레먼스가 젊은 제이크 역을 맡았다.

 

감상 후기 

스포일러 주의 
 

줄거리 

7주전에 사귄 물리학이 전공인 남친 제이크와 관계를 끝내려고 하는 루시가 제이크의 부모님을 보러 가게 되는데, 사실 그녀는 거절을 해야 했지만 그러지 못했다. 전형적인 호러나 스릴러 무비의 피해자 성격인 Yes 맨 혹은 남에게 싫은 소리 못하는 타입의 그녀. 사실 그녀로서는 탐탁지 않는 여행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남친의 부모님을 통해 그에 대해 더 알아보자는 심리도 있다. 아무튼, 뭔가 불길한 이 마지막 여행을 위해 눈이 펑펑 내리는 와중에 그녀는 제이크 부모 집으로 함께 자동차 여행에 나선다.  

 

스릴러, 로드무비, 스필버그의 환상특급 류의 괴담물의 결합

넷플릭스 영화 이제 그만 끝날까 해는 눈이 내리는 악천후 속에서 루시와 제이크 커플의 부모님 댁 방문 자동차 여행에서 겪게 되는 여러 가지 미스터리한 일들을 환상특급 류의 괴담물과 심리 스릴러로 만들어냈다. 

흔히, 살다보면 누군가 나를 뚫어지게 지켜보고 있다고 느낀 적이 있지 않나. 이런 위험스러운 불길한 예감은 넷플릭스 영화 이제 그만 끝낼까 해의 주인공인 제이크의 여자 친구 루시도 느낀 듯하다. 영화는 이러한 사소한 경험으로부터 이야기를 끌어낸다. 

“이제 그만 끝낼까 해”라는 루시의 내레이션과 함께 어떤 집안의 풍경을 보여주면서 영화는 스릴러로서 시작된다. 영화의 처음에 남자 친구를 기다리는 루시는 건물의 위층 창문에서 자신을 노려보는 듯한 낌새를 느끼고 쳐다본다. 이어서 건물 안의 노인이 바깥을 쳐다보는 장면이 이어진다. 노인은 이해 못 할 독백을 한다. 그러나 그녀는 남친 제이크가 도착하자 차로 올라탄다. 

이후 영화는 로드 무비의 형식을 띠면서 자동차로 남친의 부모 집으로의 여정을 따라간다. 그리고 자동차 속 커플의 대사가 계속된다. 주로 비슷한 기호와 취향을 가진 물리학을 전공한 제이크와 여자 친구 루시가 빠져있는 영화나 뮤지컬, 시, 책 등이 소재이다. 

제이크의 부모님 집에 도착한 뒤부터 영화는 본격적인 괴담물로 변모한다. 루시는 제이크의 부모님을 만난 후 이상한 집 분위기에 압도당한 후, 현실인지, 백일몽인지 모를 여러 가지 경험을 한다. 그리고 우여곡절 끝에 무사히 남자 친구 부모님을 뵙고 난 후 그와 함께 자신의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이하 중략)… 결국, 괴담물의 클라이맥스라고 할 수 있는 제이크의 모교인 고등학교 앞에 서게 되는데, 그가 학교에 들어간 후 나오지 않자 걱정이 돼서 루시 또한 학교 건물에 들어간다. 

 

두세 번 봐야만 하는 영화?

넷플릭스 영화 이제 그만 끝낼까 해는 여러모로 관객의 머리를 아프게 한다. 보는 내내 현실인지 상상인지 관객을 혼란스럽게 하는 와중에 대사와 미장센에 상징과 은유가 많아서 한번 보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가 힘든 장면이 꽤 많다. 이 때문에 호불호가 갈릴 것으로 보인다. 

영화는 USA투데이 인터뷰에서 두세 번 보게 되는 영화를 쓰고 만들기 좋아한다고 언급한 각본가이자 감독 찰리 코프먼의 뜻대로 나온 듯 보이지만, 대부분 대중들은 그런 수고를 바라지 않는다는 점에서 미스터리 장르의 필수적 요소인, 작가가 적정한 수준으로 가이드를 해주지 않은 점은 아쉽다. 한 번에 이해하기 어려운 문장이 가득한, 난해하고 복잡한 책을 마주한 기분이다. 

물론 감독은 인디와이어와의 최근 인터뷰를 보면 자신은 관객에게 감춘 것이 없고 관객들이 자신이 보여준 방식(The way)을 아마도 찾아낼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것이 캐릭터들이 겪은 것이고 여러분이 이해하던지 못하던지라고 덧붙이기도 했다. 

 

현실 연애에서 실패한 물리학도의 상상력이 빚어낸 하나의 비관적 결말

남자 주인공 제이크가 물리학도라는 점에서 영화는 현대 물리학의 여러 이슈 – 물리학에서의 시간(과거, 현재, 미래), 평행우주 – 를 주요 플롯의 소재로 삼고 있고 철학적 문제 – 존재론과 인식론, 결정론, 창조론, 자유의지, 비관주의 – 등이 스토리의 장면과 대사 속에 녹아들어 있다. 

영화의 결말을 요약하면 현실에서 실패와 좌절을 경험한 과거 물리학도였던 한 인물의 상상이 만들어낸 비극인데, 자신의 창조적인 상상임에도 불구하고 자기가 만든 캐릭터들의 돌발 행동에 의해서 파국에 이르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영화 이제 그만 끝낼까 해의 결말과 해석 – 장문 주의

전체 해석 보기 – 스포일러

결말 해석

– 영화는 다양한 해석의 여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목차 
 
  1. 영화는 어떻게 보여지나?
  2. 결말 – 잡역부 제이크는 왜 죽었나? 제이크와 루시 관계의 진실
  3. 왜 여자 친구 루시는 루시, 루이자의 전화를 받지 않았을까? 
  4. 영화 속 존재론과 인식론
  5. 영화 속 결정론과 비관주의
  6. 영화 속 창조론과 자유의지 
  7. 영화 속 시간과 평행우주 
 

영화는 어떻게 보여지나? 

영화를 보는 관객은 현재, 모교에서 잡역부로 일하는 노인 제이크와 그가 현실 도피의 수단으로 만든 상상(여자 친구를 데리고 부모님 댁을 가는 로드 여행)을 교대로 보게 된다. 
 
로드여행이라는 상상 속 인물들은 그 자신의 과거 경험 속에 살았던 사람들이다. 그의 부모, 아이스크림 가게 직원은 학교에서 제이크를 놀리던 두 여자와 왕따인 여자, 그리고 여러 이름으로 불리는 여자 친구 루시는 제이크의 취향과 기호가 섭렵되어 만들어진 오랜 상상의 산물이다.
 

잡역부 제이크는 왜 죽었나?  제이크와 루시 관계의 진실

모교에서 잡역부로 일하고 있는 노인이 된 제이크는 자신의 과거 실패한 연애를 치유하는 수단으로 자신의 젊은 시절 제이크가 여자 친구를 데리고 자신의 부모님 집을 방문하는 스토리를 상상으로 창조해낸다. 
 
그런데, 그가 만든 불완전한 상상 속의 주인공인 여자친구 루시와 제이크의 돌발행동이 이어지는데, 특히 루시의 경우 제이크의 어린 시절 방을 들여다 보고, 제이크가 금지한 지하실을 내려가서 결국 판도라의 상자를 여는 것처럼 관객에게 추리의 단서를 주게 된다. 
 
결말에 루시가 제이크의 모교인 고교에 들어와서 결국 현재 잡역부인 제이크 자신과 마주치게 되는 데, 그는 그녀에게 둘 관계의 진짜 진실 – 두 사람은 전혀 얘기조차 안했다. 둘 사이에 아무 일도 없었다. 단지 술집에서 제이크가 루시를 소름끼치게 쳐다봤다는 사실 뿐 – 을 직접 듣게 된다. 결국 첫장면에서 누군가 뚫어지게 루시를 쳐다보는 씬은 일종의 결말에 대한 복선이었던 셈이다. 
 
또, 루시와  제이크는 그들 입장에서 미래의 제이크의 어두운 비밀을 알게 된다. 
 
사실, 그와 루시의 만남 자체는 예상치 못한, 그 자신이 완전히 제어할 수 없었던 상상의 돌발적인 결과였다. 추측컨데, 그가 여자 친구를 부모님 집으로 데려오는 상상은 했지만 그 전에는 자신과 마주치는 상상을 하지는 않은 것 같다. 
 
이것에 대한 근거를 극 중에서 찾는다면 루시가 고교 학교 안으로 들어가기 전에 털시 타운의 오레오 부르르(Brrr) 아이스크림 용기들이 잔뜩 쌓여 있는 쓰레기 통을 보게 되는데, 아마도 그동안 과거의 상상 속에서 제이크와 여자 친구가 부모님 집 방문 후 마지막 코스로 털시 타운 아이스크림 가게에 들른 후 모교에 와서 다 먹은 아이스크림 용기만 버리고 집으로 갔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동안 제이크는 나름 행복 회로를 돌리면서 세월을 보내고 있었던 셈이다.
 
잡역부 제이크는 결국 그날 퇴근 후 평소 자신의 생각인 ‘이제 그만 끝낼까 해 – 이제 이런 상상 그만하고 존재가 사라지고 싶다’라는 생각을 실현하기에 이른다. 그는 구더기가 들끓는 애니메이션 돼지에 이끌려 옷을 벗고 학교 안으로 다시 들어가고 복도 끝에서 사라진다. 
 
이어서 영화는 자신의 부모와 루시가 지켜보는 가운데 노벨상을 타게 되는 제이크의 모습과 그의 뮤지컬 공연이 이어진다. 
 
다음날 아침 눈에 뒤덮인 제이크의 픽업트럭만 남아 있다. (젊은 제이크와 루시가 타고 왔던 세단 자동차는 보이지 않는다.) 
 

왜 여자 친구 루시는 루시, 루이자 등의 전화를 받지 않았을까? 

제이크 부모님 집에서 루시는 무슨 용건인지 안다면서 계속 전화를 받기를 거부하는데, 제이크가 결국 메시지만이라도 들어라고 강하게 말하자 마지못해 전화를 받는다. 음침한 목소리의 스토커 같은 괴상한 내용이 녹음되어 있는 음성 메시지는 제이크의 목소리이다.
 
루시 입장에서 전화를 받지 않은 것은 누구한테 그냥 싫어요 라고 못해서 번호를 주긴 했는데, 그 후 상대방으로부터 전화가 오지만 귀찮아서 받지 않는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 이 점에 대해서 극 후반에 루시가 고교 건물 안으로 들어간 제이크를 기다리면서 그런 심정을 토로하는 장면이 등장한다.
 
과거 현실에서 제이크는 전화번호를 딴 후 실제로 여자에게 계속 전화를 했는데, 여자가 받지 않았던 경험이 있다. 게다가 스토커와 같은 음성 메시지를 남긴 경험이 있지 않았을까. 결국 거절의 경험이 이런 식의 상상으로 그의 머릿속에 존재한 듯 보인다.
 

영화 속 존재론과 인식론

영화는 시종일관 무엇이 현실인지, 무엇이 상상인지 힘든 구조를 갖고 있는데, 영화 첫 장면의 제이크 부모님 집(현재는 잡역부 제이크가 혼자 사는 집)에서의 루시의 내레이션 속에서 때로는 생각이 행동보다 진실과 현실에 가까워라는 말로 현실 루저인 제이크가 가공의 세계에 빠져 있음을 보여준다. 
 
제이크 부모님 댁에서 제이크 아버지와 루시는 회화에 관한 대화를 하는데, 제이크 아버지는 존재론적 관점을 보여주는데, 반해서 루시의 생각은 인식론적 관점을 보여준다. 
 
제이크 부모님에게 자신의 그림을 보여주면서 루시는 풍경화 속에 자신의 내면과 감정을 담아서 마치  앤드류 와이어스의 회화작품 크리스티나의 세계(1948)의 그림에서 사람만 뺀 그림을 그린다고 말한다. 그러자 제이크 아버지는 풍경화 속에 감정을 느끼는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데, 어떻게 그걸 느낄 수 있냐고 반문하는데, – 이 말은 화가가 작품에 투영한 감정을 어떻게 관객이 동일하게 느낄 수 있냐고 묻는 것이다. (제이크 아버지 왈 “그림 속에 들판에 슬퍼하는 사람이 없는 데, 어떻게 슬플 수 있을까?”)
 
루시는 자신을 풍경을 바라보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면, 사람이 없는 풍경화에도 보는 사람이 감정을 느낄 수 있다고 말하면서 환경이 불러오는 감정은 본인의 것이지 환경의 것이 아니고, 그 장소에 내재된 감정이 아니라고 말한다. 
 
이 장면은 루시의 말이지만 잡역부 제이크 본인이 자신의 상상을 바라보는 관점을 보여주는 장면이기도 하다.
 

영화 속 결정론과 비관주의

결정론은 흔히 과거와 현재, 미래의 모든 일이 이미 정해져 있다고 보는 이론이다. 영화 속에서 제이크는 소위 과거 속에서 연애 루저였다. 물리학도였지만 그다지 성공하지 못한 것으로 보이고 게다가 흔히 말하는 학교 괴담 속 살인자가 되었다 그래서 자신의 집 돼지우리 속 구더기에 먹힌 돼지처럼 자신도 죽어야만 하는 숙명을 가진 존재라고 생각한다. 그의 결심은 결국 우연한 어떤 하루에, 상상 속에서 여자 친구 루시와 조우하면서 실행된다.
 
 

영화 속 창조론과 자유의지 

노인이 된 잡역부 제이크는 자신의 과거 연애 실패의 트라우마를 치유하기 위해서 상상을 만들어 냈는데, 그 자신이 일종의 창조주이다.  그리고 그가 만든 상상 속의 제이크와 여자친구 등 인물들은 그의 경험과 기호와 취향 등이 총동원된 피조물이다. 문제는 그의 상상은 불완전했고 각각의 캐릭터는 나름 자유 의지를 갖고 있었다. (그가 의도했든 아니든) 
 
우선 불완전한 그의 상상의 예를 몇 가지 꼽아 보자면, 극 중 여자친구 루시의 이름을 여러 가지 다른 이름을 불리게 되는 경우 –  그가 여자 친구를 데려오는 상상을 여러 번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제이크 부모님 집에서 제이크 부모님의 나이가 늙었다, 젊었다 등 변하는 모습, 제이크의 부모님 집에서 제이크가  어린 시절 사진을 보여주는 장면에서, 처음에는 아이의 머리가 약간 긴 머리고 여자 같다. (루시가 보는 관점) 그래서 루시가 자기라고 말하는데, 이어서 제이크가 나잖아라고 말하는 장면에서는 다시 아이의 머리가 짧아지고 남자 같다. 제이크인 것이다. 이 장면도 결국 제이크와 상상 속의 루시가 제이크로부터 파생된 것임을 암시한다. 그 외 루시가 스펙터클의 사회의 작가 기 드로브를 얘기할 때 모습은 잡역부 제이크가 식당에서 식사를 할 때 본 로버트 저매키스 감독의 영화에 나왔던 여주인공 이본의 얼굴로 바뀌기도 한다. 
 
자유의지의 경우는 예를 들어, 제이크의 여자 친구 루시가 영화 시작 때 자신을 훔쳐본 건물 위 창문 속 누군가(잡역부 제이크)에 대한 낌새를 눈치채고 쳐다보는 것 – 이 장면은 인간이 신의 존재를 깨닫게 되는 과정과 상통한다. 마치 영화 속 인물이 자신을 찍고 있는 영화감독에게 갑자기 말하는 것처럼 초현실적이다. 결말 즈음에 제이크와 루시가 키스를 할 때, 청소부 제이크가 훔쳐보는 소리에 열이 받아서 혼내주기 위해서 돌발적으로 젊은 제이크가 고등학교 내로 들어가는 것 또한 마찬가지이다. 루시가 제이크가 금지한 제이크 부모님 집의 지하실에 내려가는 것 역시 고삐 풀린 상상이다. 루시가 털시 타운의 왕따 직원에게 기시감(데자뷔)을 느끼는 것 또한 스스로 자각한다는 증거이다. 또 아이스크림 가게 직원이 루시에게 위험을 알리는 것, 제이크가 루시를 에임스라고 부를 때 이상함을 느끼는 루시의 반응…
 

영화 속 시간과 평행우주 

영화는 기본적으로 젊은 제이크와 여자 친구가 미래(혹은 다른 평행 우주)의 제이크와 조우하게 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물론 이러한 평행 우주적인 가정은 미래의 제이크를 만나기 전에 이미 제이크의 부모님 집에 도착한 후 제이크 여자 친구의 캐릭터가 가진 불완전성과 그녀의 캐릭터가 가진 본질이 제이크의 기호와 취향의 결합체(책, 시, 영화, 브로드웨이 뮤지컬, 미술작품, 평론가 취향, 생각…등등) 라는 것이 밝혀지면서 수명을 다한다. 이때 관객은 그녀가 상상 속 인물임을 눈치채게 된다.

 

총평

넷플릭스 이제 그만 끝낼까 해는 노벨상이 꿈이었던 한 실패한 물리학도의 망상이 파국으로 가는 과정을 그린 스릴러이다. 위에 언급했듯이 영화가 가진 상징과 은유, 그리고 이중적 뉘앙스 때문에 영화에 대한 다양한 해석의 여지가 있어 보인다. 게다가 반복해서 보면 처음 봤을 때 눈에 띄지 않았던 찰리 코프먼이 남긴 단서가 보일 수 있다. 덧붙이자면, 제이크의 여자 친구 역을 맡은 제시 버클리의 연기가 극을 압도한다. 

#스릴러 #연애 #현대 물리학 #철학

 

캐릭터

역할(본명)

스포일러

  • 제이크(제스 플레먼스)
  • 제이크의 여자 친구(제시 버클리): 루시, 루이사, 루치아, 에임스 

 

이제 그만 끝낼까 해의 정보(Trivia)

스포일러
 
  • 루시 시편(The Lucy poems): 영국의 낭만주의 시인 윌리엄 워즈워스의 시편
  • 오클라호마!: 오스카 해머스타인 2세(극작가)와 리처드 해리스(음악)의 브로드웨이 뮤지컬 
  • 폴린 카엘: 뉴요커 잡지의 영화 평론가 
  • 월터 앨버트 블레이클록의 회화 작품: Moonlight(1880s), Heavy Wood – Moonlight(undated)
  • 크리스티나의 세계(1948): 앤드류 와이어스의 회화작품
  • Introduction to virology: 바이러스학에 대한 소개, 케네스 스미스의 1980년에 발간된 책 
  • The Humming Effect: Sound Healing for Health and Happiness: 앤디 골드만, 조나단 골드만의 2017년 발간된 자기 계발서 
  • For Keeps: 영화 평론가 폴린 카엘의 1994년 발행된 평론서
  • 로튼 퍼펙트 마우스(Rotten Perfect Mouth): 에바 H. D.의 시집
  • 영향 아래 있는 여자: 존 카사베츠 감독의 1974년 영화, 제나 롤렌드 주연으로 메이블 롱게티 역을 맡았다.
  • 로버트 저메키스: 영화감독, 주요 작품은 백 투 더 퓨쳐, 캐스트 어웨이, 포레스트 검프 등
  • 얼음(Ice): 안나 카반의 1967년 발행된 아포칼립스 장르의 소설 
  • A supposedly fun thing i’ll never do again: essays and arguments: 1997년 발행된 데이비드 포스터 월리스의 논픽션
  • 스펙터클의 사회: 마르크스주의 저술가인 기 드보르의 1967년 발행된 책

 

  • 영화명: 이제 그만 끝낼까 해 
  • 방송사: 넷플릭스 
  • 장르: 스릴러, 로드 무비, 미스터리
  • 원작: I’m Thinking of Ending Things by 이언 리드

 

reference from  https://www.usatoday.com/story/entertainment/movies/2020/09/03/im-thinking-ending-things-netflix-new-charlie-kaufman-movie/5695918002/, https://www.indiewire.com/2020/09/charlie-kaufman-explains-im-thinking-of-ending-things-1234584492/
이미지의 저작권은 배급사 NETFLIX에 있습니다. (c) NETFLIX

Copyrightⓒ midtvculture.com All Rights Reserved. 컨텐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ince the contents of this web page are protected by copyright, Unauthorized reproduction and redistribution of content is prohibited.


err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