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12월 16일 첫 방송을 시작한 tvN 블랙독을 봤다. 오리지널 제작자와 방송사는 tvN이다. 드라마의 극본은 블랙독으로 데뷔한 박주연 작가이다. 드라마의 방영일정은 월화 밤 9시 30분에 편성되어 총 16부작으로 일주일에 2회씩 TVN, 티빙을 통해서 방송될 예정이다.
드라마 블랙독 1회, 2회 후기 (c) tvN
주요 시놉시스(간략 줄거리)는 한 기간제 교사의 고등학교에서의 살아남는 법을 그린 사회 이슈 드라마이다. 고교 수학여행때 자신을 구한 선생님을 사고로 잃은 아픈 기억을 갖고 있는 고하늘이 강남 대치고등학교에서 기간제 교사로 일을 하게 되면서 벌어지는 에피소드를 다루고 있다.
주요 캐스팅(배우)
주요 캐스팅은 2018년 JTBC 월화 드라마 뷰티인사이드 이후 서현진이 기간제 교사 고하늘 역으로 출연했다.
2019년 tvN의 막돼먹은 영애씨 17에서 출연했던 라미란이 박성순 역을 맡았다.
2019년 tvN의 아스달 연대기에서 타추간 역으로 출연했던 하준이 도연우 역으로 출연했다.
감상후기
1화, 2화 후기
줄거리
줄거리를 간략히 소개하자면 고교생이던 고하늘은 수학여행 도중 버스 폭발사고를 겪는다. 당시 기간제 교사 선생님에 의해 그녀는 목숨을 건지지만 선생님은 사고로 목숨을 잃는다. 세월이 흘러서 그녀는 임용고시에 수차례 떨어지지만 운이 좋게 강남 대치고등학교에 기간제 국어 교사로 근무하게 된다. 그러나 그녀가 삼촌인 교무부장 문수호 교사의 빽으로 들어왔다는 소문이 교사들 사이에 돌게 되면서 곤란한 상황에 처하게 되는데….
블랙독의 뜻
전반적으로 작품에 흐르는 작가의 의도는 우리 사회의 한번의 실패 – 임용고시 실패 – 로 인해서 블랙독이라는 낙인이 찍힌 기간제 교사의 현주소와 이에 대한 문제의식을 보여준다. 드라마 블랙독의 블랙독의 뜻은 블랙독 증후군을 의미하는 것으로 유기견을 입양시킬 때, 검은 색의 개들을 꺼리는 현상을 말한다. 극 중 기간제 교사인 고하늘도 같은 처지임을 말한다.
기간제 교사 고하늘의 살아남는 법
전체적으로 드라마 블랙독에서 느껴지는 첫 인상은 우리 사회가 공동체와 조직을 개인보다 더 우선시 하는 사회 분위기가 주류라는 점이다. 신입에게 최대한 튀지 말라고 조언하는 모습은 모난 돌이 정 맞는다는 속담 그대로다. 최대한 조직에 묻어가는 게 미덕인 사회. 그런데, 이런 사회일수록 기간제 교사 고하늘과 같은 블랙독은 더 괴롭다. 낙인이 찍혀서 조직적으로 사람들에게 없는 사람 취급 당하거나 혹은 무시 당한다. 게다가 그런 낙인은 스스로에게 악영향을 주게 되는데, 과연 그녀는 살아남을 수 있을까?
그동안 학교를 배경으로 하는 드라마는 많았지만 기간제 교사에 포커스를 맞춘 드라마는 거의 없었다. 분야는 다르지만 비슷한 예는 기업의 말단직원에 포커스를 맞춘 tvN의 드라마 미생이 있었다. 초반 드라마는 기간제 신입교사의 고등학교에서의 적응과정을 보여주는데 특히, 학교라는 조직 속에서 기간제 교사인 고하늘이 기존의 교사들과 융화되지 못하고 차별적 대우를 당하는 모습과 사회 초년생의 약간은 허둥대는 출발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드라마가 학교내에서 교사들간의 여러가지 직장내 갈등상황으로 이야기가 전개되면서, 연기는 초반 주로 악역들이 눈에 띄었다. 1회에서는 진학부장 박성순(라미란)과 앙숙관계인 송영태 교사역을 맡은 박지환이 부각되었고 2회에서는 고하늘과 교과 파트너였던 김이분 교사 역을 맡았던 조선주의 연기가 눈길을 사로잡았다.
시청률은 닐슨 코리아에 따르면 1회(12월 16일 )는 시청률 3.3%로 출발했고 2회(12월 17일)는 4.4%를 차지했다.
기간제 교사란
정교사는 교사 임용고시를 통과한 사람이다. 그에 반해서 기간제 교사란 임용고시를 통과하지 못했지만 교원자격증 2급(교육대학교 혹은 사법대학교 4년, 교직과정이수, 교육대학원 졸업시 교원자격증 2급 자동취득)이 있는 사람으로 학교에서 비정규직 교사로 근무할 수 있다. 계약기간은 6개월에서 1년까지이고 한 학교에서 4년간 근무할 수 있다.
그렇다면 왜 기간제 교사문제가 사회문제가 되었을까? 기간제 교사란 원래 정교사가 육아 등으로 인한 휴직, 휴가, 파견으로 인한 결원이 생겼을 때 충원하기 위해서 도입된 제도지만 우선 정부의 교육과정이 1997년 12월 30일에 7차 교육과정으로 개정되면서 과정의 원활한 운영과 특정 교과목 교사 충원을 위해서 기간제 교사가 많이 필요해져서 증가했다. 또한 많은 학교 특히 사립학교에서 경제적인 논리로 기간제 교사를 많이 뽑으면서 그 수가 늘어났다. 기간제 교사의 증가는 장기적으로 근속년수가 오래된 기간제 교사들을 양산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서 처우개선문제, 기존 정교사와 융화문제, 정교사 전환문제 등 각종 문제가 대두 되었다.
블랙독 1, 2회의 결말
결말 보기 – 스포일러
1화 결말은 그녀는 수학여행 사고 때 자신을 포기하지 않았던 기간제 선생님을 떠올리면서, 기간제 교사 자리를 관두지 않고 학교에 남기로 한다.
2화 결말은 도선생이 작년 김이분 선생의 교과 파트너였던 동병상련의 심정으로 고하늘 선생에게 도움을 주겠다고 한다.
총평
드라마 블랙독은 부조리한 현실 속 기간제 교사의 이야기를 담은 사회이슈 고발 드라마이다. 교사의 이야기에 관심이 없더라도 사회 초년생의 직장생활을 다른 드라마라서 관심을 가질만하다. 약간 욕하면서 보는 그런 맛! 재밌게 봤다.
#사회이슈 #사회초년생
캐릭터(등장인물)
역할(본명)
고하늘(서현진): 기간제 교사, 국어, 진학부, 3학년부
박성순(라미란): 정교사, 국어, 진학부장
도연우(하준): 정교사, 국어, 진학부, EBC 강사
배명수(이창훈): 정교사, 생물, 진학부
문수호(정해균):정교사, 물리, 교무부장
송영태(박지환): 정교사, 물리, 3학년 부장
지해원(유민규): 기간제 교사, 국어, 3학년부
김이분(조선주): 정교사, 국어, 교무부
하수현(허태희): 정교사, 국어, 3학년부
윤여화(예수정): 정교사, 진로, 진로부장
송지선(권소현): 기간제 교사, 국어, 방과후부
시리즈명: 블랙독
시즌 No: 1
에피소드: 1화, 2화
제작사: TVN
기타: 티빙
장르: 사회이슈
극본: 박주연
첫방송 2019년 12월 14일
reference from http://program.tving.com/tvn/blackdog https://ko.wikipedia.org/wiki/7%EC%B0%A8_%EA%B5%90%EC%9C%A1%EA%B3%BC%EC%A0%95 http://m.news.eduhope.net/a.html?uid=757 이미지의 저작권은 제작사 tvN에 있습니다. (c) tvN
Copyrightⓒ midtvculture.com All Rights Reserved. 컨텐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ince the contents of this web page are protected by copyright, Unauthorized reproduction and redistribution of content is prohibited.